을 포함하는 세 글자의 단어: 253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03개 🦕세 글자: 253개 네 글자:379개 다섯 글자:109개 여섯 글자 이상:248개 모든 글자:1,193개

  • : (1)물음에 응하여 답을 쓰는 종이.
  • : (1)속세에 초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것을 고상하게 여기는. 또는 그런 것.
  • 간척 : (1)육지에 면한 바다나 호수의 일부를 둑으로 막고, 그 안의 물을 빼내어 만든 논.
  • 고래 : (1)바닥이 깊고 물길이 좋아 기름진 논. ⇒규범 표기는 ‘고래실’이다. (2)‘고래실’의 북한어.
  • 신간 : (1)새로 개간한 논.
  • : (1)‘바듯이’의 방언
  • 사대 : (1)답사하기 위하여 조직한 집단.
  • 댓매 : (1)대의 마디
  • 사객 : (1)답사를 하러 온 사람.
  • : (1)지주의 땅을 빌려서 남에게 빌려주고 원래의 도조 외에 더 받아먹는 사람.
  • : (1)옳은 답을 써 놓은 종이.
  • : (1)사리를 분별할 줄 모르거나 약삭빠르지 못하여 생각이나 행동이 갑갑하게 보이는 사람.
  • 위토 : (1)산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데 드는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경작하는 논.
  • : (1)질문의 의도에 꼭 맞게 잘한 대답.
  • : (1)‘빨랫줄’의 방언
  • 신서 : (1)관청 따위에서 묻는 물음에 대하여 답신하는 문서.
  • 사경 : (1)묘지기나 마름이 수고의 대가로 부쳐 먹는 논.
  • 선문 : (1)참선하는 사람들끼리 진리를 찾기 위하여 주고받는 대화. (2)주어진 문제와는 상관없이 한가로이 주고받는 이야기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관모 : (1)통일 신라 시대에, 촌락의 농민들이 역역(力役)으로 경작하여 그 수확물을 전부 국가에 바치던 관유지(官有地). 결수(結數)는 3~4결이었다.
  • 목련 : (1)눈꺼풀이 때때로 깜짝깜짝하는 증상.
  • : (1)기계 따위를 발로 디뎌서 돌리는 방식.
  • : (1)‘빨랫줄’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답배’로도 적는다.
  • 냉수 : (1)바닥이나 두렁에서 온도가 낮은 물이 스며 나오는 논.
  • : (1)따뜻한 정이 있다.
  • 사단 : (1)답사하기 위하여 모인 단체.
  • 존서 : (1)‘개짐’의 방언
  • 불향 : (1)부처에게 올리는 쌀을 생산하는, 절에 딸린 논밭.
  • 윤환 : (1)주기적으로 밭 상태로 바꾸어 작물을 재배하는 논. 또는 그러한 방식.
  • : (1)호출된 신호에 응답하기 위해 사용하는 회선.
  • : (1)질문이나 의문을 풀이하는 사람.
  • 힐문 : (1)트집을 잡아 따지는 물음과 대답.
  • 생수 : (1)‘생수받이’의 방언
  • : (1)조선 시대에 둔, 궁중의 육처소 가운데 하나. 빨래와 다듬이질, 다림질 따위를 맡아 하던 곳이다.
  • 개노 : (2)어떤 상황에서 해결 방법이 전혀 없거나 어떤 사람의 행동이 매우 변변치 않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
  • 온수 : (1)관개용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만든 논. 수온이 낮아서 벼가 자라기 어려운 논의 물꼬 가까운 곳에 만들어, 모를 심지 않고 물만 대어 수온을 높인 다음 논으로 보낸다.
  • 디까 : (1)‘-다고 합디까’가 줄어든 말.
  • : (1)‘빨랫줄’의 옛말.
  • : (1)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미리 작동해 놓으면, 전화가 왔을 때 상대방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기기. (2)질문기에서 발사된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응답 신호를 보내는 장치. 거리와 방위의 측정 등에 사용된다.
  • 전작 : (1)논에서 벼를 심기 전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일.
  • 변율 : (1)전체 질문에 대하여 대답한 질문의 비율. 또는 전체 인원 중에서 질문에 대답한 인원의 비율.
  • 창식 : (1)초기 가톨릭 교회에서 시편을 부를 때 두 개의 합창단이 각 시편 절의 두 부분을 한 부분씩 교대하거나 시편 절들을 한 절씩 교대하며 부르는 방식.
  • 보통 : (1)벼의 생산성이 보통 정도인 일반적인 논.
  • 기식 : (1)이미 흐르는 물의 침식을 받은 논.
  • : (1)부름이나 물음에 응하여 답한 계층. 또는 그런 계층의 사람들.
  • 묘위 : (1)묘에서 지내는 제사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경작하던 논.
  • : (1)변환기에서의 출력량과 입력량의 비. 이들 입출력의 양은 변환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반드시 같은 종류의 물리량인 것은 아니다. 측정 척도로 마룻값, 평균값 따위가 쓰인다.
  • 하다 : (1)부르는 말에 응하여 어떤 말을 하다. (2)질문이나 의문을 풀이하다. (3)물음이나 편지 따위에 반응하다.
  • 례품 : (1)감사의 표시로 주는 물건.
  • : (1)‘모랫논’의 방언
  • 머슴 : (1)예전에, 머슴이 지주에게 빌려 부치던 땅.
  • 중악 : (1)주로 전라도 지방에서 불리는 모찌기 소리ㆍ모심기 소리ㆍ김매기 소리 따위의, 논이나 밭에서 일하면서 부르는 노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진도 들노래, 나주 들노래, 함평 들노래 따위가 있다.
  • : (1)독자들이 제기하는 물음에 답을 하여 주는 부서.
  • : (1)말대답하는 짓이나 행동.
  • : (1)서로 묻고 대답하는 방식. (2)학습자의 자기 활동을 중요시하여 질문과 대답을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방식.
  • : (1)‘빨랫줄’의 방언
  • 요랑 : (1)중국 당나라 때의 가면극. 술 취한 남편이 아내를 괴롭히는 내용을 춤과 노래가 결합된 놀이로 만든 가무희이다.
  • : (1)창덕궁 비원에 남아 있는 못. 방형으로, 숙종 때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 (1)옳은 답을 선택하는 비율.
  • 인은 : (1)관인을 찍은 은. 외국에 가지고 가는 은은 모두 관청에서 도장을 찍어 관에서 허락하였다는 인증으로 삼았다.
  • : (1)‘서랍’의 방언
  • 싸리 : (1)‘댑싸리’의 방언
  • 추락 : (1)생식 생장기에 벼의 아랫잎이 빨리 마르고 퇴색하여 생육이 좋지 않아서 수확하는 벼의 수량이 줄어드는 논.
  • : (1)‘빨랫돌’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답팡’으로도 적는다.
  • 명대 : (1)질문의 의도에 꼭 맞게 잘한 대답.
  • : (1)한 사람이 선창(先唱)하면 다른 사람들이 노래로 답하는 형식의 고대 가요.
  • : (1)가슴속이 갑갑하거나 안타깝거나 하여 죄어드는 듯한 느낌.
  • : (1)묻고 대답하는 형식.
  • 눈대 : (1)눈으로 하는 대답.
  • 채종 : (1)볍씨를 받기 위하여 특별히 마련하여 경작하는 논.
  • 휴한 : (1)토양을 개량하기 위하여 벼 재배를 중지한 논.
  • 긴대 : (1)‘예’ 소리를 길게 내어 대답함.
  • 도리 : (1)‘잡도리’의 방언
  • 정녁 : (1)‘저녁때’의 방언
  • : (1)꾸밈이나 거짓이 없이 참되고 미더운 데가 있다.
  • 말대 : (1)손윗사람의 말에 반대한다는 뜻의 이유를 붙이어 말함. 또는 그런 대답. (2)묻는 말을 맞받아서 대답함. 또는 그런 대답.
  • 불양 : (1)부처에게 올리는 쌀을 생산하는, 절에 딸린 논밭.
  • 사자 : (1)현장에 가서 직접 보고 조사하는 사람.
  • 랍고 : (1)중국 수나라ㆍ당나라 때에 사용하던 가죽을 문질러서 소리를 내는 북. 쿠처 지방과 인도의 춤음악에 쓰였다.
  • 누수 : (1)자갈이나 모래가 많고 갈이흙이 얕아 물이 쉽게 새는 논.
  • : (1)‘잦바듬하다’의 방언
  • 옭매 : (1)‘옭매듭’의 방언
  • 례사 : (1)감사의 표시로 하는 말.
  • : (1)꽃과 같은 아름다움이 있다.
  • : (1)물음과 대답의 내용을 여러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적어 붙이는 판.
  • 공동 : (1)둘 이상의 사람이나 마을이 함께 짓는 논.
  • : (1)부름이나 신호 따위에 대답하거나 반응하는 성질.
  • 반습 : (1)물 빠짐이 좋지 않은 논.
  • 것데 : (1)‘겉대답’의 방언
  • 정너 : (2)‘답은 정해져 있고 너는 대답만 하면 돼’라는 뜻으로 쓰는 말. 주로 자신이 듣고 싶은 대답을 미리 정하여 놓고 상대방에게 질문을 하여 자신이 원하는 답을 하게 하는 행위나 그런 행위를 하는 사람을 이른다.
  • : (1)관아에 속하여 빨래나 마전을 맡아 하던 사람.
  • : (1)배에서 쓰는 국제 신호기의 하나. 다른 배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이를 납득하였을 때 또는 신호가 끝났음을 알릴 때에 게양한다.
  • : (1)정대(正大)하고 올바르다.
  • 흐렁 : (1)‘수렁논’의 방언
  • : (1)유두(流頭)에 행하던 제사의 하나. 농촌에서 논의 물꼬나 밭 가운데에 여러 음식을 차려 놓고 농신(農神)에게 풍년이 들기를 빈 다음 제사가 끝나면 그 음식들을 땅에 묻는다.
  • 말시 : (1)남의 말을 듣고 그대로 받아들이지 아니하고 그 자리에서 제 의사를 나타냄. 또는 그 말. ⇒규범 표기는 ‘말대꾸’이다.
  • : (1)기계나 기구 따위를 다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보조 기구. 또는 그것을 부착하기 위한 보조 기구. ⇒규범 표기는 ‘어댑터’이다. (2)증류 장치의 유출액이 나오는 곳에 대어 다른 장치와 연결하는 화학 실험 기구. ⇒규범 표기는 ‘어댑터’이다.
  • 쌔기 : (1)사람이나 사물 따위가 한군데 많이 모여 있는 것.
  • 후작 : (1)벼를 베고 난 논에 보리나 채소 따위를 심는 일.
  • : (1)‘할아버지’의 방언 (2)‘할아버지’의 방언
  • 쌔다 : (1)‘답쌓이다’의 준말. (2)‘답쌓이다’의 북한어.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0개) : 다, 닥, 닦, 단, 닫, 달, 닭, 담, 답, 닷, 당, 닻, 닼, 닽, 대, 댁, 댄, 댈, 댐, 댓, 댕, 댯, 더, 덕, 덗, 던, 덛, 덜, 덤, 덥, 덧, 덩, 덫, 덭, 데, 덱, 덴, 델, 뎁, 뎅, 뎌, 뎔, 뎜, 뎡, 뎧, 뎨, 도, 독, 돆, 돈, 돌, 돍, 돐, 돓, 돔, 돗, 동, 돛, 돜, 돝, 됀, 되, 됙, 됨, 됴, 두, 둑, 둔, 둘, 둟, 둠, 둥, 둬, 둼, 둿, 뒈, 뒘, 뒝, 뒤, 뒴, 뒷, 뒹, 뒿, 듀, 드, 득, 든, 들, 듥, 듬, 듯, 등, 듸, 디, 딘, 딜, 딤, 딥, 딩, 딮

실전 끝말 잇기

답으로 시작하는 단어 (233개) : 답, 답가, 답가하다, 답간, 답간하다, 답감, 답감하다, 답결, 답계, 답계하다, 답곡, 답교, 답교놀이, 답교하다, 답구, 답구희, 답국, 답권, 답글, 답농, 답니까, 답니다, 답다, 답다부리하다, 답다비, 답다하다, 답달, 답답, 답답다, 답답선 ...
답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3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답을 포함하는 세 글자 단어는 25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